고등학교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작성일 2017.10.0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02년생 여학생입니다.
제가 다른 건 딱히 관심이 없고 수학, 과학, 역사에 관심이 많거든요.
역사는 그냥 학교에서 하면 되지만, 요즘 수학/과학은 선행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제가 공부를 좀 늦게 시작한 편이라,, 선행 열심히 해서 수학 겨우 미분계수와 도함수를 끝냈어요.
아직 미분계수와 도함수는 조금 더 공부해야되고ㅠㅜ

제가 다니고싶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보니 고1은 미분I, 적분I, 고2는 미분II, 적분II, 기벡, 확통 정확히 기억은 안 나는데 미적분 I, II 다 해야되는 것 같더라고요.

저는 참고로 통계학과 아니면 전자공학 쪽을 생각하고 있어요. 벌써 대학 걱정하는 게 좀.. 주책이랄까, 이른 것 같기도 하지만 목표가 있어야 공부를 할 수 있잖아요. 제가 가고싶은 과가 성적이 아주아주 높더라고요ㅎㅎ 그래서 더 질문이 많습니다ㅠㅠ

1. 2018학년도 고1이 되는데 미적분I, II 다 하는 게 좋겠죠? (물론 다른 부분들도)

2. 일단 고1 들어갔을 때 통합과학을 배우고, 고2 때 과학(화학, 생물, 지구과학, 물리) 중에 2개 선택해서 하는 게 맞나요?
-맞다면 ex) 생물+물리 선택했을 때 생물I, II+물리I, II 다 배워야 하는 건가요, 아님 I 만 배우나요?

3. 수학 복습하면서(수I) 진도를 계속 나가려고 하는데 아직 미분계수와 도함수는 괜찮은데 뒤에 가면 뇌세포가 타버릴까 무서워서ㅜㅜ 수학 독학은 불가능일까요?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았습니다. 가족들이 교육에 관련해서 잘 모르고, 중학교에서도 줄 수 있는 정보에 한계가 있어서 질문이 좀 많아요..
아시는 것 최대한 꼼꼼하게 써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표 #고등학교 교육과정 행렬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 #고등학교 교육과정 수학 #고등학교 교육과정위원회 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고등학교 교육과정 설명회 ppt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다른 질문은 제가 정확히 모르겠어서 2번 질문 답변드릴게요


2. 일단 고1 들어갔을 때 통합과학을 배우고, 고2 때 과학(화학, 생물, 지구과학, 물리) 중에 2개 선택해서 하는 게 맞나요?
-맞다면 ex) 생물+물리 선택했을 때 생물I, II+물리I, II 다 배워야 하는 건가요, 아님 I 만 배우나요?


학교마다 다릅니다.

해당 학교에서 과학을 어떻게 배우는지 커리큘럼을 알려줄 거예요

거기에 맞춰서 하시면 됩니다.

저희 학교(평범한 일반고)의 경우는 1학년 때 통합과학,

2학년 때 물1,화1,생1,지1(1학기에 두 과목, 2학기에 두 과목),

3학년 때 물2,화2,생2,지2 중 2과목 선택해서 배웠습니다.


주변학교의 경우 1학년 때 통합과학+물1or화1 이렇게 같이 배우는 경우도 있었고요

과학을 집중해서 배우는 다른 학교의 경우 1학년 때 물1화1를 배우고

2~3학년 때 물2,화2,생2,지2를 모두 배우기도 하더라고요


그러니까 보통

1학년 때 통합과학+학교에서 통합과학을 일찍 끝낸다면 물리1이나 화학1을 2학년 전에 미리 나가기도 함

2학년 때 물1,화1,지1,생1 모두(이중 지1을 안배우는 학교도 있긴 함..)+학교에 따라 물2,화2,지2,생2를

미리 나갈 수도

3학년 때 물2,화2,생2,지2 중 선택(학교에서 개설 여부에 따라 개설이 안되는 과목이 있을 수도 있음)

이정도인 것 같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2018학년도 고1이 되는데 미적분I, II 다 하는 게 좋겠죠? (물론 다른 부분들도)

저는 예전에 고등수학 상,하 수1 수2 확통 기벡 이렇게 있을때, 고등수학 하 까지만 하고 고등학교입학 했

었는데, 결과적으로 이과수능 1등급 맞았거든요 그러면서 느낀게 미적분 I, II를 다하는게 중요한게아니라

얼마나 잘하느냐가 중요한거같아요 뭔말이냐면 입학하면 "난 기벡까지 하고왔는데~" "난 여기까지하고 왔는데~" 이런애들 많은데 그래봐야 수능에나온 기벡 못푸는애들이 대부분이거든요

차라리 선행을 미적 I, II 까지만 하더라도 그걸 수능에 나와도 풀만한 실력을 키우는게 나아요

무리하게 선행해봐야 학교생활따라가다보면 선행이 부질없다는걸 알게되요 그냥 학교 방학때마다 조금조금 선행해놓으면 넉넉해요


2. 일단 고1 들어갔을 때 통합과학을 배우고, 고2 때 과학(화학, 생물, 지구과학, 물리) 중에 2개 선택해서 하는 게 맞나요?
-맞다면 ex) 생물+물리 선택했을 때 생물I, II+물리I, II 다 배워야 하는 건가요, 아님 I 만 배우나요?

고2때부터 2개선택하는건 모의고사볼때나 그렇게하고 배우는건아마 3개정도? 배울거같은데요

학교마다 다르지만 저희학교는 3개를 배우고 그중에 2개를 선택해서 모의고사를 보는? 이런식이였어요

물론 학교 내신시험에서는 3과목 다보고요 그리고 II 과목은 본인이 원해야 배우는 경우가 많아요

학교수업으로는 그냥 I만 하는경우가 많고.. II는 심화반같은 개념?

3. 수학 복습하면서(수I) 진도를 계속 나가려고 하는데 아직 미분계수와 도함수는 괜찮은데 뒤에 가면 뇌세포가 타버릴까 무서워서ㅜㅜ 수학 독학은 불가능일까요?

전 고2때까지 수학 독학했었는데 독학하면서도 1등급이 잘나와서 그런가보다했는데.. 가면갈수록 한계가 느껴져서? 인강을 들었는데... 

인강 듣는게 최선이에요 차라리 . 제 경험상 강의가 좋다기보다 인강교재의 문제가 질이 더 좋은경우가 많아요 뭐 독학은 가능한데 좀 효율이 떨어진다해야하나? 

독학 해도좋아요! 근데 좀 나중가면 답답해질거에요! 문제풀때 어떤걸 조심하고, 어떤걸 염두에 두고 풀고.. 이런 노하우가 필요한데 혼자서만하다보면 부족하긴하거든요



고등학교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 관하여 질문에 많습니다. 제가 전혀 모르는 상태라고 생각하시고 답변해 주세요 (1) 수 상,하 그리고 수1,2 는 무엇인가요? (2) 수 1,2 가 고등학교...

2025년 수학 고등학교 교육과정 변화...

제가 중3 자이스토리 교재를 풀던중 위와 같은 단원이 나왔는데 제 학교 교과서에는 안 나오더라구요 혹시 이게 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바뀌나요? 제발 답변 부탁드립니다!...

09년생 고등학교 교육과정

고등학교 때 교육과정이 어떻게 되는건지 모르겠어요ㅠㅜ 모두가 듣는과목과 선택할 수 있는 과목 등등 알려주세요 선택과목 사라지고 통합됨 국어: 선택과목인 언매, 화작...

고등학교 교육과정

... 언제부터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등장하였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그런데 언제부터 연역법과 귀납법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고등학교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교육과정 비공개 조회수 7 작성일52분 전...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교육부...

호주,뉴질랜드 고등학교 교육과정

호주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뭔가요? 에이레벨인가요? 호주 고등학교에서 에이레벨... 호주 고등학교 교육과정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채택 해주세요~ 지금까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