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규칙적으로 하기위해 필요한 것들

공부를 규칙적으로 하기위해 필요한 것들

작성일 2019.12.20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는 현재 중학교3학년 이고 내년에 고등학교에 입학합니다.
저는 지금 수학(하)를 개념원리라는 책으로 공부하고 있고 학원에서 진도를 다 나간 상태입니다.
하지만 문제를 40%정도 밖에 못풀었다는게 큰 문제점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매일 무슨일이 있어도 문제를 일정하게 풀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본인도 잘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깨달은게 너무 늦어버렸습니다.
누구나 다 이런말을 하면 아직 늦지안았다고 말을 하겠지만 학원의 진도에 비해 늦은건 사실입니다. 다음달이면 개념원리 rpm을 들어갈텐데.. 규칙적으로 문제를 풀기위해선 어떤 요소가 필요할까요.. 제가 어떤 점이 부족한걸까요.

그리고 수학공부에 관련된 책과 '규칙적인 것'에 관련된 책도 추천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책을 별로 읽지 않았습니다.)
제 취향에 맞는 책이면 300페이지 기준 하루면 다읽습니다. 물론 멜로/로멘스 장르에 한해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는 중학교 3학년때 그냥 놀았는데, 학원 갈 돈도 없어서 말이죠.

학원을 갔냐, 안갔냐 여부보단 고등학교 입학하고 공부를 안해서 지금까지도 수학을 못하는 것 같아요.

수학 잘하는 친구에게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수학을 잘하려면 무엇을 해야하냐고.

머리가 좋아야한다, 수학 공부를 꾸준히 해야한다, 뭐 이런 진부한 답변을 바란 것은 아닌데도

이런 답변을 받을거라 예상했었어요.

근데 의외로, 안 풀리는 문제를 포기하지 말고 풀으라고 하네요.

물론 너무 비효율적인 방법이기도 하겠죠. 하지만 친구의 수준은 안 풀리는 문제가 없었기에 그렇게 말한 것일 수도 있고

(길어봤자 1시간이면 다 풀었거든요. 그 친구는 수학을 잘해서.)

나머지는 저의 몫이였겠죠.

학원 진도에 맞추다보면 내가 진짜 시간을 투자해서 풀어야 할 문제를 놓칠 수가 있어요.

왜냐면, 진도 따라가야 하니까요.

남들은 저 앞에 있는데, 나는 아직 여기에 머무르고, 따라는 가야겠고 말이죠.

책 잘못은 없습니다. 좋은 책, 나쁜 책 어느 정도 검색을 통하면 다 나옵니다.

가독성이 좋다던지, 문제가 좋다던지, 이런건 솔직히 저는 잘 모르겠군요.

근데 학원 진도에 너무 따라가진 마세요.

본인이 고등학교 1학년 수학 문제를 진득하게 풀어야만 본인의 것이 되지,

대충 풀고 넘어가면, 1학년 입학해서 또 해야합니다.

또 하려고 학원 다니는건 아닐거 아니에요?

만약 학원 다니는 목적이 그렇다면 그냥 대충하세요. 입학해서 또하면 되니까요.

근데 그런게 아니라면 냉수 마시면서 그 단원에 대한 개념들을 적어놓은 요점 정리 하나 놓고,

문제들을 스스로 답지 보지 말고 풀어나가보세요.

막히면 학원 선생님을 이용합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전 둔산동 동아샘입니다.

유튜브에 [ 동아샘 학습누적기록부 ] 라고 치시면

다른 학생들의 일주일 학습한 모습이 나옵니다.

이처럼 표에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기록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학습 습관이 생깁니다.

---------------

필수15 자기주도 학습기록부를 분석하고 개선하라.

자기기주도 학습누적기록부 https://www.youtube.com/watch?v=QB4uzpWDlgM

스터디 플레너의 비교 https://www.youtube.com/watch?v=UciZpCg09N4

방법과 가치 https://www.youtube.com/watch?v=tU_BGXjHbXM

주도학습의 중요성 https://www.youtube.com/watch?v=Wpj6gCwRWF8

진심을 담으면 등급 향상 https://www.youtube.com/watch?v=RC3pTjBaVys

필수16 모의고사 특징적 학습법과 12단계 반복법 https://www.youtube.com/watch?v=BHGOgoee70I

필수17 공부법에 관한 대표적인 오해 8가지를 교정하라 https://www.youtube.com/watch?v=xIJFSHUfe0U

공부만 하니 시험공부도 하자 https://www.youtube.com/watch?v=9NkOUwH2910

필수18 나만의 실천 가능한 공부법을 만들어라.

8등급 유일한 공부법 https://www.youtube.com/watch?v=zDjG0M2wu4w

다 못 푸는 학생을 위한 25가지 조언 https://www.youtube.com/watch?v=4VUB7B7U2Js

세트 공부법 https://www.youtube.com/watch?v=011Ix3jnOFU

기본필수 학습법 https://www.youtube.com/watch?v=d6IoovH7oRg

중하위 쓰면서 공부법 https://www.youtube.com/watch?v=n89qrWc2poc

포스트잇 테마정리법 https://www.youtube.com/watch?v=_Lj81butnw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바보아저씨의 경제이야기 - 수학, 과학, 국어공부 어떻게 해요?

제가 고3때 반에서 25등 했습니다.

한 반에서 서울대만 9명 들어갔지요...

(서울대 9명 / 연고대 12명 / 사관학교 3명 / 의대 2명 / 치대 1명 등등... 한 반에서... ㄷㄷㄷ)

지방 비평준화 고등학교 출신으로

진심으로 답변 달아 드립니다.

중학교 3학년에서 예비고등학생 이면요..

일단 정석을 풀어야 하구요. 끄적끄적 보면서 풀어보세요..

(여력되면 우리땐 없었던 인강은 보조자료로 들으면서...)

그 이전에 중1~2~3학년 배웠던 수학 교재 다시 싹 읽어보세요.

그거 쉽습니다. 다 배운거라...

일주일도 안 걸립니다.

기초가 탄탄해야 고등학교 가서

수업 + 미적분을 잘 할 수 있구요.

그게 쌓여서 나중에

이과로 대학교를 가는 경우 고등미적분학

(크레이지 kreyszig 고등미적분학 공업수학 있어요 수학 끝판왕임. 존나 유명함)

그거 라플라스, 푸리에, 텐서 방정식 등등 이런거 학점을 잘 딸 수 있습니다.

(그냥 열어보면 내용이 그냥 죄다 미분/편미분/적분 베이스에요. ^^)

그게 기본이 되어야

물리학 현대물리 전자기학 엔지니어링 로켓역학 위성역학 등등

응용 전공을 배울 수가 있는 거구요..

그렇게 학점 잘 따야

삼성전자 하이닉스 같은 회사 들어가서

반도체 설계하고 월급 탈 수 있어요.

그리고 반도체 설계하는데 수학만 필요해요? 절대 아니죠.

- 요번에 일본에서 수출금지 시켰던 삼성전자 핵심 소재 뭘까요? = 불화수소 = 화학물질 화학

- 현대차 기아차 연봉 높고 신의 직장인데 차 설계 잘하려면? 수학+물리학+역학 지식 필요함

- 현대건설 건축 설계사 들이 고층건물 멋있게 설계 잘 하려면? 수학+물리학+건축역학 지식 필요함

- 현대중공업 1~2조 짜리 해양플랜트, 컨테이너선 설계 잘 하려면? 바다유체역학+수학+물리학 등등

- SK이노베이션 S-OIL 같은 정유회사 대기업 들어가면? 증류해서 품질관리 기본 수학+화학 필요

- 정유회사, 석유공사, 수자원공사들 해외에 유전개발 하려면 수학+지질학(지구과학)+생명과학 등등

이렇게 다방면의 지식이 필요한 거에요.

그렇게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 들어가면,,, 기억나죠?

제가 계속 올려드리잖아요.

삼성전자/하이닉스

평균 근속 남자 12년..여자 10년...

그런

삼성전자 1개 회사 1년 매출 250조

대한민국 정부 1년 예산 500조인

안타까운 수출 약소국이 대한민국이며

그게 한국 사회입니다. 헬조선이죠...

국어는 어려워도 고전 소설/시 같은거 억지로라도 많이 읽어야 합니다.

물론 잘 안 읽혀요. 노잼입니다.

그런데 뻔히 시험에 무조건 나오잖아요.

고전 50선~100선 도서관가서

고전 명작 읽으세요.

솔직히 고전소설 읽는거 지겹습니다.

ㅈ노잼이라서 사실 잘 안 읽죠.

그러함에도 평소에 악착같이 읽어둬야 합니다. 극복 잘 하세요.

경제 법정치 한국사 사회 과학 같은 거는 어차피 반복 학습이라

고등학교 2학년 말 부터 ~ 3학년 중반까지 계속 문제 풀이 하면서 나름 점수 딸 수 있구요.

영어 같은 것도 요새 조기교육 대부분 해서 크게 편차가 없습니다.

중요한 건 국어 수학에서 많이 판가름이 나요.

그리고 실제로 대학교 특히 이공계 진학하는 경우는 위에서 실제 대기업 사례로 말씀드렸지만

수학+과학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 대학교 1학년 이과 진학하면

물리/화학/생물/생화학 1년 동안 다시 배웁니다. 그때 개비가 될 수가 있어요.

과학 실험도 대학교에서는 같이 합니다. 실험복 입구요...

그런데 수학은...?

바로 대학교 1학년 부터 미적분학 증명부터 시작해서

2학년 때 고등미적분학, 공업수학 (kreyszig 교재) 가지고 바로 심화 미적분 공부를 합니다.

못 따라가면 3~4학년 되서 응용 전공 못 따라가서 그냥 헤매는 거죠.

멘탈 나갑니다... 그래서 나중에 기술이 필요한 대기업 취업까지 고려하면...

무조건 이과 진학이면 수학을 잘 해놔야 합니다. 중요해요.

과학자 아인슈타인도 일반상대성 이론 정립 때문에 텐서방정식 등등

수학공부만 9~10년을 했습니다. 알아두세요.

흥! 나는 경영 경제 문과 진학해서 수학 필요 없다구?

풉.. 명문대 상경계열 교수들이 학생들 신입생 미적분 다시 가르치고 경제 가르친다~

미적분, 통계 확률은 경제학에서도 필수임!

꼭 알아두세요. 꼭이요. 머리에 각인되라 평생... 제발...

대기업, 행정고시 고위공무원, 대학교수 국가예산 갑질을 폭로한 대기업 직원의 글

https://brunch.co.kr/@readme999/141

회사사옥에서 8개월 먹고 살았던 이야기

http://naver.me/GIvxfOTD

대기업 취업, 대기업 면접, NCS 인적성, 대기업 생활, 대기업 회식 문화, 대기업 인사 평가, 대기업 사옥 배치, 대기업 부서 간 협업 및 견제, 사무직 현장 발령, 대기업 40~50대 되면, 대기업 꼰대들, 90년생이 온다. 기타 야사 등등 취준생 성지글

http://naver.me/5fSYxROg

(지방 비평준화 명문고 고3때 서울대 9명 들어간 바보아저씨 현실 충고 끝)

끝. ㅂㅂ

바보아저씨의 경제이야기 - 수학 국어공부 어떻게 해요?

2019년 삼성전자 실제 데이터

남자 평균 12.2년

여자 평균 10.6년

2019년 하이닉스 실제 데이터

남자 평균 9.85년

여자 평균 11.72년

1) 열심히 하다 안되면 -> 어릴 때 부모님 몇등했나 솔직하게 물어볼 것 (유전일 수도 있음)

2) 수능 날 8~10개 찍은거 다 맞춰서 대박 -> 치대 의대 가는 사람 전교에 1~2명 확률로 나옴 (그거 노리셈)

인생 파이팅 ㅅㄱ

- 고향 완전 개 시골임

- 고등학교 때 아빠가 갑자기 사고로 하루아침에 죽음 (급사로 돌아가심)

- 빚 보증서 2억 날아옴 집 완전 파산함

- 대학교 고시원 반지하 바퀴벌레 우글대는 집 전전

- 취업해서 돈 벌려고 중동 이슬람 해외파견 개고생

- 은행으로 이직했는데 12살 어린 띠동갑 여자 은행원 고졸 텔러 한테 존대말 하면서 3년 일 배움

- 해외여행은 30살에 처음 내가 돈 벌어서 나가봄 (그전 까지 제주도 수학여행 비행기 타본게 전부)

- 고등학교 때부터 모든 숙식 이런거 혼자 다 해결

- 내 100% 실화 이야기임

(개고생 한 이유 : 수능 1문제 차이로 원하는 전공 학과 못가서)

참고해

ㅅㄱ

바보아저씨의 경제이야기 - 중학교, 고등학교 부모님이 공부 잔소리 하는 진짜 이유... 소름...

중학교 3년 + 고등학교 3년 = 6년임. 실제로는 5년 반 (고3 마지막은 정리기간)

1) 6년 투자해서 -> 남은 50년을 편하게 살 것인지

2) 6년 망가지고 -> 남은 50년을 평범하게 부모님 처럼 서민으로 살 껀지

결정하라는 뜻입니다.

스카이캐슬이 별다른게 아니에요. 지금 부모님이 스카이캐슬 태워서

좋은 직업 갖게 하려고 하는 겁니다. 그 나이에는 모르죠.

(앞으로 벌어질 일을 모르고 잔소리 같으니까...)

아래보세요. 수능 문제 1문제 3점 차이로

- 의대 가냐

- 일반 대학을 가냐 차이가 나고

그게 평생을 두고 후회가 될 차이가 됩니다.

아저씨 100% 현실 경험 글 도움 되시길..

바보아저씨의 경제이야기 - 수시 vs 정시 뭐가 좋은가요? (SKY 출신 아저씨의 현실 직언)

예를 들어 생각해보세요.

공무원 시험으로 안 뽑고

수시로 뽑아요.

어떻게 생각하세여?

정원 50% 수시로 뽑는다구요.

시험 성적 필요 없이

장점 단점 눈에 보이죠.

그리고 수시 정시 왜 필요해요

논문 잘쓰면 의대 치대 가는데

안 그래여?

다 개돼지 서민들 아둥바둥 하는 거죠.

옛날 식으로 수능 100%

전국 1등~200등 -> 그대로 서울대 의대 법대 가던 시절이

가장 깔끔한데

이것도 엄청난 폐단이 생기죠.

학교 공부 안하고 수능 사교육 폐단

수시 늘리니까 인맥 학연 지연

해외에 주작 학교 세워서 애들 주작 졸업 -> 재외국민 전형으로

명문대 입학 돈으로 명문대생 그냥 만들기 가능

다 됩니다.

방법 없어요.

그래서 헬 조선 이라는 겁니다..

회사사옥에서 8개월 먹고 살았던 이야기

http://naver.me/GIvxfOTD

현실경제속 경제적 불평등의 실제 사례 6가지

(5대 은행 시중은행원의 내부자 제보글)

(월세 노예폭로, 전세 근저당, 확정일자+계약서 잘 설명된 성지글)

http://naver.me/xgYrh9jj

(대학교 그렇게 겨우겨우 대학교에 갔어요...)

바보아저씨의 경제이야기 - 고고학, 과학 좋아서 유학까지 오게 되었어요. 올바른 길일까요?

당연히 고민되죠.

그냥 답 안나와요.

그리고 그거 좋아하게 된 이유가 뭘까요?

어릴 때 우연히? 그냥 좋아서?

부모님이 가이드를 제대로 명확하게 안 해준 책임도 사실 있습니다.

어릴 때 보세요.

그냥 우연히 접한거, TV보고 멋있어 보이는거

하다가 공부좀 하면 성적 그 과목 잘 나옴 (특히, 과학 같은거, 지구과학, 물리 이런거)

그럼 남들이 우쮸쮸 하니까 공부 그 과목 할애 더함

그러다 보면 지역 경시대회 이런거 입상함

그럼 이길이 내 길인가 보다 대학교 그길로 진학함

그러다 보면 못 빠져나가고 유학가게됨

왜냐면 남들도 다 미국 유학 가니까.

그냥 이렇게 되는 겁니다.

(비슷하게 성적 나온 애들은 부모가 잘 가이드 해줘서, 지방의대, 한의대, 취직 잘되는 공대, 상경계열 들어가서)

벌써 취업해서 돈 벌고 있는데;;; 그냥 이렇게 인생이 되어 버리는 겁니다.

(무작정 비하하는 건 아닙니다. 잘되는 사람도 나옵니다. 다만 전반적으로 이공계/인문학 홀대하는 한국사회 비판을 제가 하는 겁니다.)

스카이캐슬이 다른게 아니고 이런게 스카이 캐슬이라는 거에요.

그래서 지금은 방법이 없습니다.

인생을 되돌릴 수도 없구요.

명확하게 주변에서 그 길이 아니고 이길로 가면 어떻게 되고 어떻게 되고

명확하게 보여주지 않아서 (솔직히 부모님이 학력이 낮고, 예전 고졸이면 잘 몰라서)

가이드를 못해주는 거, 막연히 판검사 해라 잔소리로 들리고, 난 고고학이 좋은데

'땅 디그디그 해서 깊게 파는 게 더 좋아 보이는데'

이렇게 그냥 된다는 거죠.

그러다가 나중에 30~40대 되면

친구들 운 좋으면 조교수 이렇게 임용 되는데

난 미국에서 연구 잘 안 풀려서 계속 학교에서 주는 2000~3000불 받아서

중고차 몰면서 입에 풀칠하고 다니고 (미국 물가 한국 2배임...)

남들은 와 미국 유학생 좋겠네

하지만 현실은 척박하고

더구나 미국에서 고고학이면...

뉴멕시코 고지대 사막에서 땅 파고 있지나 않으면 다행...

그것도 40대 나이 들면 체력도 떨어지고...

그냥 답 없이 흘러가는 겁니다...

돈도 못 벌고.. 뭐 학자가 돈 벌려고 하는 건 아닙니다만...

현실이죠...

나이가 몇인지 모르겠는데

진로 바꾸기 쉽지 않구요;;

아직은 대학교 2학년 입니다.

나이상 충분해요.

3수 4수 해서 SKY 들어가는 친구들도 많은데요 뭘..

잘 생각해보세요;;

내 진로가 내가 선택한 건지

아니면 어릴 때 우연에 우연이 겹쳐서 그렇게 된 건지 말입니다;;;

아래는 쭉 읽어보고 참고만 하세요.

대한민국 토종 흙수져 젊은 사람들 100% 현실 100% 직장생활 현실 글 입니다.

현실경제속 경제적 불평등의 실제 사례 6가지

(5대 은행 시중은행원의 내부자 제보글)

(헬조선 월세 노예폭로, 전세 근저당, 확정일자+계약서 잘 설명된 성지글)

http://naver.me/xgYrh9jj

피피섬 이스라엘 여학생

http://naver.me/FRVr8ZWr

회사사옥에서 8개월 먹고 살았던 이야기

http://naver.me/GIvxfOTD

대기업 취업, 대기업 면접, NCS 인적성, 대기업 생활, 대기업 회식 문화, 대기업 인사 평가, 대기업 사옥 배치, 대기업 부서 간 협업 및 견제, 사무직 현장 발령, 대기업 40~50대 되면, 대기업 꼰대들, 90년생이 온다. 기타 야사 등등 취준생 성지글

http://naver.me/5fSYxROg

중학교 공부하기위해 필요한것들

... 중학교 입학을 앞두고 중학교 공부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글을 남겨주셨네요. 우선 중학교 입학을 축하드리고 공부하려고 준비하는...

영어공부를 하기위해 필요한것

... 혼자 공부할만한 영어문제집좀 추천해 주세요, 듣기책, 문법책, 단어책등이요,, 그리고 영어공부를할때... 열심히 공부한다면 스튜어디스가 될수 있을까요? 영어는...

주식을 하기위해 필요한것들이 궁금합니다

... 주식을 하기위해 은행을 들려야한다는데 무슨일을 해야하나요 2. 주가가 최대... 제가 아는 지인중에서도 차트 공부 몇 주만에 지나친 자만심과 단기간 고수익을 노리는...

부동산에서 일 하기 위해 필요한것

부동산에서 일 하기 위해 필요한것이 뭘까요? 23살 회사원입니다. 현재 회사생활이... 중개법,임대법,세법등을 공부하시면서 일을 하시는거죠... 만약 분양쪽으로 보신다면...

해킹을 하기위해 필요한것들

... C언어부터 공부하셔야 하는데요 보안파트 같은 경우는 IT분야중 가장 상위급 직종이기 때문에 왠만큼 배우고서는 실현을 하기 어렵습니다. 보통 보안관련 취업을...

수, 사, 과 를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 혼자 공부하기 참 편합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으시다면 단과학원 다니시는 편이... 수능을 위해 공부를 하는 것이라면, 특히 시간이 모자란 시점이라면 정석 연습문제는...

영상의학과를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것?

영상의학과를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것? 너무 아는 정보가 없어서 막연한 질문을 드려봅니다. 의예과는 어디로 가는 것이 좋은지? 그런 것도 고려대상일까요? 영상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