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식 조직 1차인가요 2차인가요

비공식 조직 1차인가요 2차인가요

작성일 2024.04.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차집단에는 가족, 또래, 친족 등이있고

동호회나 사내 동호회같은 인간관계를 지향하는 집단은
1차집단으로 보는 게 아니라 그냥 1차집단의 성격이 강하다고 보는 거 아닌가요 ?

비공식조직도 1차집단이다 이렇게 정의 내릴 수 있는 게 아니라
2차집단의 성격도 있지만 1차집단의 성격이 더 크다
이렇게 말해여하는 거 아닌가요..?


#비공식 조직 #비공식 조직 자발적 결사체 #비공식 조직의 순기능과 역기능 #비공식 조직 1차집단 #비공식 조직 이익사회 #비공식 조직과 자발적 결사체 #비공식 조직 예 #공식 조직과 비공식 조직 #병원 비공식 조직 #동호회 비공식 조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비공식 조직은 주로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비공식적인 그룹이나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이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1차집단과 2차집단은 사회학적 개념으로, 사회구성원들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따라 구분됩니다. 주요 차이점은 집단 구성원들 간의 관계의 강도와 집단의 목적에 있습니다.

1차집단:

가족, 친구, 동료 등과 같이 개인의 정체성과 자아 실현에 중점을 두고 형성되는 집단입니다.

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더 깊고 강하며, 서로의 상호작용이 더 긴밀합니다.

일상적인 소통과 상호작용이 빈번하며, 감정적인 지지와 유대감이 높습니다.

2차집단:

동호회, 사내 동호회, 학교 동아리 등과 같이 특정 목적을 위해 형성되는 집단입니다.

일정한 목적이나 활동을 위해 모인 집단으로, 구성원들 간의 관계는 1차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친밀합니다.

주로 특정 목표 달성이나 활동 수행을 위해 형성되므로, 활동에 대한 목적성과 효율성이 중요합니다.

비공식 조직은 주로 2차집단의 성격을 갖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비공식 조직 내에서도 개인 간의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어 1차집단과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공식 조직 역시 1차집단의 성격을 일부 포함하고 있을 수 있지만, 주된 특징은 2차집단의 특성을 띱니다.

비공식 조직

비공식 조직1차 집단인가요, 2차 집단인가요? 사회문화 학습에서 비공식 조직1차 집단으로 보시면 됩니다.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사회문화 비공식조직

... 이것도 1차적 집단이 아니라는데… 이유를 모르겠어요 공식 조직안에 있다고 해서 다 비공식 조직은 아닙니다.... 공식 조직의 성격을 갖게 되고, 그렇게 되면 2차 집단의...

비공식조직인데 2차집단일 수 있나요??

수능완성인가 어디 시험지에 비공식조직1차집단일 수도 있고 2차집단일 수도 있다고해서요 애초에 비공식조직은 공식조직 내에서 친밀한관계를 만들고자 만든...

공식조직,비공식조직...

... 이부분은 가능하신 만큼만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을 해주실때 xx는 1차/2차 이며 공동/이익 사회이며 공식/비공식 조직입니다. 이런식으로 구분해 주셨으면...

비공식조직

비공식조직1차적성격을 가지고있지만 굳이 따지자면 2차집단아닌가요? 1차 집단입니다. 다만, 공식 조직안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안에서 관계는 2차 집단적 성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