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기후

한국지리 기후

작성일 2015.07.0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한국지리 공부를 하다가 햇갈리는 부분이 생겨 질문합니다...
 우선 책을 읽다 보니까 오호츠크해 기단이 여름철에 냉해를 입힌다는데  이건왜그런거죠?오호츠크해 기단의 성질이 냉량습윤 해서그런거라면 이런 냉해는 영동지방에만 일어나야하지 않나요?(푄현상으로 영서 지방엔 안일어나지 않나해서,,)

그리고 시베리아 기단에 대한 질문인데요.이 시베리아 기단이란게  제트기류 안에 묶여있어서 제트기류가 진동할때 한파에 영향을 주는 놈하고 같은 것인가요?그리고 책에보니까   "겨울철에 강한북서풍이 불어 우리나라의 기온이 그게 하강하여 한파가 나타난다.이 추위는 이동성 고기압이나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하며 다소 누그러진다."라고 나오는데,이게 무슨말인가요.어떻게 이동성 고기압이나 저기압이 한파를 약화시키죠?
또,책에 보니 삼한사온 이란게 나오는데 이것도 제트기류의 진동 때문인가요?그리고 꽃샘추위도 마찬가지인가요?만약 아니라면 정확한 요인을 시베리아 기단과 연관지어 말해주세요 ㅠㅠ
내공 50드립니다.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한국지리 기후 #한국지리 기후 문제 #한국지리 기후 기출문제 #한국지리 기후 정리 #대륙성 기후 한국지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미래에 지리교사를 희망하는 지리교육과 학생입니다.



먼저 1번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선 몇가지의 사전지식이 필요합니다.


1. 먼저 오호츠크해기단은 한류가 흐르는 오호츠크에서 발원한 '한랭습윤한 기단' 이면서, 이동성고기압 성격을 띤 기단이다.


2. 태양복사에너지는 일출부터 일몰전까지만 영향을 끼치는데 반해, 지구복사에너지는 24시간 지구에서 방출되고 있어 일몰 이후에 지표면에서는 '복사냉각' 이 발생한다.


3. 복사냉각이 발생하게 되면 기온역전층이 형성되어 대기가 안정상태가 되어, 바람이 불거나 일출이후 지표면이 가열되기 전까지 지표면은 낮은 온도를 유지한다.


4. 지역이 고기압 중심에 위치하게 될때에는 맑고 바람이 없는 날씨가 나타나게 되며 이는 야간에 지표면의 '복사냉각'을 촉진한다.


내용을 정리하자면 오호츠크해기단은 한랭습윤한 기단이기도 하면서 고기압성격을 띤 기단입니다.

이런 고기압성기단이 세력이 확대되어 영동지방까지 세력범위가 확장되게 되면, 이런 고기압의 영향에 의해 맑고 바람이 없는 날씨가 지속됩니다. 이로 인해 야간에 복사냉각이 활발해짐에 따라 기온역전층이 형성되어 지표면의 낮은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는 곧 냉해를 유발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 속에 오호츠크해기단의 확장이 여름철 냉해를 입게 되는 것 입니다. (주로 영동지방에)


두번째 질문.


먼저 겨울철한파는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이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제트기류의 진동의 영향이 있습니다만, 가장 중요한것은 시베리아기단입니다.


겨울철에 강한북서풍이 불어 우리나라의 기온이 그게 하강하여 한파가 나타난다.이 추위는 이동성 고기압이나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하며 다소 누그러진다 (삼한사온에 대한 설명)

-> 겨울철 시베리아는 대륙성기후의 특징이 도드라지게 나타나 강력하게 냉각이 일어나게 되고 공기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기압이 성장하게 되고, 더욱 성장하여  고기압성기단(시베리아기단)으로 됩니다.


고기압성 기단은 하층에서 공기를 다른 지역을 발산하게되는데, 이런이유 때문에 시베리아 기단이 한반도의 북서쪽에 위치할때는 북서풍이 불게됩니다.

이때부는 북서풍은 시베리아의 지표의 성질(한랭건조)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바람이기 때문에 이런 바람이 불어올때는 우리나라에 한파가 몰아치게 됩니다. 


하지만 시베리아기단은 열적요인에 형성된 기단이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쉽게 파괴,분리 됩니다.  시베리아 기단이 우리나라쪽으로 확장하게 될때,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따뜻한 공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가장자리가 분리되게 되는데, 이렇게 분리된 작은된 공기 덩어리가 '이동성 고기압'  이 됩니다. 이동성 고기압은 시베리아기단에 비해 비교적 온화하기 때문에 이런 이동성 고기압이 우리나라는 지나갈때는 기온이 따듯해지게 됩니다. 저기압의 경우에는 주로 성질이 따뜻하기 때문에, 저기압이 통과할때도 온화한날씨가 됩니다.


제트기류에 의한 영향을 제트기류는 중이도의 대류권계면위에서 서에서 동방향으로 빠르게 바람이 부는 현상을 말합니다. 제트기류는 지구의 열에너지 순환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것 이외에, 극 지역의 차가운 냉기가 중위도지역에 넘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커튼'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제트기류의 강도는 두 지역간의 기온차이에 따라 달라집니다.(기온차가 크면 제트기류의 강도가 큼) 

이런 제트기류가 강력할수록 차가운 냉기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작습니다. 하지만 두 지역간의 기온차이가 적게 날 경우(예를 들어 시베리아기단 중심이 위치한 지역과, 한반도의 기온차이가 작게 날 경우) 제트기류가 약해지게 되고 차가운 냉기가 유입되게 되어 한파가 나타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위의 여러가지 요소들의 변동으로 한파가 몰아치는 주기와 온화한 주기가 일정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그런 현상을 '삼한사온 현상' 이라고 합니다.


다 적어 놓긴 했는데, 이해하실 수 있을까 라고 다소 걱정이 되는 군요, 제트기류에 대한 언급을 하셔서 적어놓긴 했지만, 고등학교교육과정에내에서 저렇게 깊이 물어볼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답변답변확정은 들의 힘이 됩니다. 바쁘시더라도 답변답변확정을 하시면 후에 높은답변확정율은 들의 답변율을 높일수있으니 바쁘시더라도 마음에 드시는 답변이시라면 꼭 답변 답변확정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냥 외우세욥....ㅠㅠ
근데 푄현상이라는게 꼭 영동지방에서만 일어나는건가여??? 그냥 바람받이사면의 반대인 바람그늘사면에서 일어나는 현상 아니에요?

한국지리 기후

왜 답이 1번인지 설명좀 자세히 해주세요 지도 인쇄 상태가 좋지 않아 개념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위도가 낮으면 최난월 평균기온은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제주도가...

한국지리 기후 파트

고위도 지역으로 갈수록 냉대림의 분포 고도가 낮아지나요? □ 답변드립니다. -> 네,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위도로 갈수록 식생 분포의 고도 한계선 (하한선, 상한선)이...

한국지리 기후요인 질문

1. 위도가 낮지만 내륙에 위치하면 1월 평균 기온이 낮은 이유가 뭔가요? 2. 위도가 낮으면 연평균 기온이 높은 이유가 뭔가요? 쉬운 설명 부탁드립니다. 두 지역이 있고 위도가...

한국지리 기후 문풀 부탁 ㅠㅠ

자세히 부탁드러용 일단 (가)는 여름에 평균적으로 가장 시원한 울릉도이고요. 울릉도는 계절별로 강수량이 균등하게 분포되어있으니까 C입니다. (나)는 8월평균기온이...

한국지리 기후 질문

연교차가 많이 나면 무조건 겨울 기온이 낮은 건 아닌 건가요? 무조건이라고는 할 수 없죠. 예외는 있으니까요 다만 문제를 풀 때 연교차가 크면 클수록 겨울 기온이 낮다고...

한국지리 기후문제

나 가 다 보다 하계강수집중률이 왜 더 높나요? 강수량은 나 가 더 많은데 여름 때 그래프를 보면 비슷하잖아요 그럼 집중률은 다 가 더 높은 거 아닌가요? 저 그래프는 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