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눈

김수영 눈

작성일 2021.09.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김수영 시인의 눈을 내재적 관점으로 볼 수 있는 화자의 처지를 알려주세요!

2) 역사적배경을 바탕으로 해석해주세요!

내공 100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김수영 시인의 경우, 1950~60년대 우리나라 참여문학론을 일으키신 분으로

내재적 관점보다는 일반적으로 외재적 관점(주로 반영론과 표현론)으로 해석합니다.

1956년에 발표되었습니다.

1)

그래도

내재적 관점으로 해석하자고 하면,

'화자'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시면 됩니다.

- 화자는 마당에 떨어지는 눈을 보고 있다.

- 마당에 떨어진 눈은 살아있다고 말하고 있다.

- 젊은 시인에게 기침을 하자고 한다

- 눈 위에 대고 마음놓고 기침을 하자고 한다

- 마음놓고를 두번 반복한 것은, 역으로 마음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눈은 죽음을 잊어버린 영혼과 육체를 위하여 살아있다고 한다

- 눈은 새벽이 지나도록 살아있다는 것은

현재는 어두운 밤이며, 새벽을 지나 아침이 밝아오도록 살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 젊은 시인이 기침을 하여, (어둔) 밤새도록 고인 가래를 마음껏 뱉자고 한다.

- 곧 기침을 하는 것은 가래( 곧 부정적인 것)을 토해내는 행위이다.

- 또한 '(어둔) 밤'은 '가래'가 쌓이는 시간이며

'젊은 시인'들이 '기침'을 하여 '가래'를 뱉어내면,

'새벽'을 지나 아침이 밝아오도록 '눈'은 살아있는 것이다.

2) 당시의 역사적 배경은

이승만 정권의 부조리와 자유에 대한 억압이 만연했던 시기입니다. 이런 사회적 부조리와 부정부패가 쌓여

1960년 3.15 부정선거가 일어나는 것이고, 4.19 민주화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지요.

김수영을 비롯한 신동엽 등의 자각있는 문학인들에 이런 부조리한 사회의 모습에 맞서 참여문학론을 이끌었고, 문학으로서 억압된 자유와 불의에 저항함으로써, 민주화를 열망하는 사람들에게 강한 믿음을 심어주었습니다. 물론, 당시 정권을 획득한 이들에게 김수영 시인은 곱게 보일리 없었고, 결국은 새벽길 주택가에서 차에 치여 의문사하였습니다. 여러 이야기가 많지만,, 아직도 문단에서는 음모론이 남아있기도 합니다.

김수영 눈이 왜 서정시에요?

... * 시 <풀, ; 김수영>의 갈래 1) 시대상 ; 현대시 2) 내용상 ; 서정시 3) 형식상 ; 자유시(운문시) 4) 표현 수법 ; 주지시 5) 내용의 특징 ; 현실 참여적, 저항적, 비판적

김수영 눈

... 그러나 전쟁과 평화, 선과 악과 같은 관계는 대조 관계가 아니라 대립관계라고 한답니다.' 김수영의 <>에서 <>과 대립되는 시어는 <가래>입니다. 눈과 가래는 대조관계가...

김수영’ 질문

김수영 작품에서 “연쇄적 표현은 드러나지 않다” 라는데요 연쇄적 표현이 왜 아니라고 보는지 모르겠어요 암만 봐도 연쇄적 표현 아닌가요 [강사진이 좋은 학원]...

김수영 눈

김수영 [] 에서 눈이 능동적이라고 볼 수 있나요? 눈은 살아 있다.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마당 위에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기침을 하자.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눈 위에...

김수영 눈 감상문 도와주세요..!

... ㅠㅠ 시인의 입장을 생각하면서 감상문을 쓰고싶은데 진짜 도와주세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김수영 시인의 <>은시는...

김수영 눈 내용

... 달리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아야겠다는 의지를 다짐하고 있다. -이 시에 대한 자료가 더 필요하면 출처 참조하세요. <출처> https://cafe.naver.com/edu9508k[현대시] (김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