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종과 선종

교종과 선종

작성일 2019.09.0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교종과 선종이 언제부터 시작된 종파인지, 이 둘의 특징은 무엇인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설명해주세요
역사에 약한 학생인데 학교 선생님께서 설명을 정확히 안해주셔서 잘 이해가 안되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교종과 선종이 언제부터 시작된 종파인지

> 교종 - 삼국시대입니다.

선종 - 통일신라말 중국

자세한 선종과 교종의 분파는 아래 참조하세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0635&cid=50765&categoryId=50778

이 둘의 특징은 무엇인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설명해주세요

>교종은 " 불교의 한 종파로 경전과 교리 이해를 중시하였다. 교종은 불교의 경, 논 등을 기반으로 하여 사상적인 이론을 세우는 불교의 종파이다."

선종은 " 참선이나 실천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88207

선종에 관해서는 유래와 대표 승려는 다음을 참고하세요.

선종의 인간관

|

|

|

|

오류 수정 문의

목차

선종의 도입

통일 신라 말 중국으로부터 전래됨

◇ 선종

선종의 도입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의천

교관겸수, 내외겸전

지눌

돈오점수, 정혜쌍수

◇ 불교의 도입과 전개

불교는 대체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중앙 집권 국가로서의 체제를 정비할 무렵에 전래되거나 공인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불교의 수용이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삼국에서 불교를 받아들이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왕실이었다. 불교가 고대 국가의 정신적 지주였을 뿐만 아니라, 왕권의 신장과 국가의 평안, 국민의 정신적 통일에 크게 도움이 되었으므로 국가에서 적극 장려하여 발전하도록 했던 것이다. 불교의 전래와 수용 양상을 보면, 초기에는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가 뒤섞여 들어왔으나, 중국 교학의 영향으로 대승 불교가 주류를 이루었다.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삼론(三論) 을 비롯한 대승 불교가 유행하였고, 신라에서 역시 열반?화엄 등의 대승 교학이 성하였다. 특히 백제에서는 율종이 성행하여 계율주의적 실천 불교의 성향을 띠게 되었다. 대승 불교 위주의 경향은 삼국 시대 이래로 우리나라 불교의 큰 특징 중 하나로 이어져 왔다.

→ 삼국 시대에 전래된 불교는 인간 사회의 갈등과 모순을 종교적 차원으로 끌어올려 해소하려 하는 등 주로 정신적 측면에서 고등 종교로서의 큰 구실을 하였다. 또한 서역과 중국의 문화를 우리나라에 전달하여 고대 문화의 발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국가 차원에서는 국민을 사상적으로 통합하여 국력을 강화시키고, 중앙 집권화를 강화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었다.

선종의 특징

1. 깨달음의 주체인 불성, 즉 진리가 모든 사람의 마음속에 있다고 주장함

2. 스스로 수행을 통한 주체적인 자아의 완성과 해탈을 강조함

3. 선종과 교종의 차이

경전에 쓰인 문자 밖에서 깨달음을 얻는 것을 중시함 ?마음으로 가르침을 주고받는 것을 중요시함

내면의 불성을 깨닫는 것을 중시하는 선종과 경전에 의거한 교설을 중시하는 교종은 고려 시대에 접어들어 서로 대립하면서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4. 선종의 주요 종지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해탈이 달이고 경전은 손가락에 불과한 것인데도 '자, 저 달을 보라.'하고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니까 어리석은 사람들은 달은 보지 않고 손가락만 본다.

◇ 선종의 주요 종지

불립문자 (不立文子)

참된 불법은 문자로 세우는 것이 아님을 뜻함

교외별전 (敎外別傳)

경전 바깥에서 전승되는 가르침을 말하며, 마음과 마음으로 가르침을 전한다는 뜻

직지인심 (直指人心)

사람의 마음을 곧바로 가리킨다는 말로, 생각하지 말고 바로 파악하라는 뜻

견성성불 (見性成佛)

본성을 보면 부처가 된다는 말로, 본 마음을 깨치면 바로 깨달음의 경지에 이른다는 뜻

의천(1055~1101)의 사상

교관겸수(敎觀兼修)

교종을 주로 하고 선종을 종으로 하여 두 종파 간의 갈등을 극복하고자 함

내외겸전(內外兼全)

교종의 경전 공부와 선종의 수양법인 마음 공부를 함께 해야 함

◇ 교관겸수

의천은 불교의 교리 체계인 교만 닦고 실천 수행 법인 선을 행하지 않거나 선만 행하고 교를 등한 시하는 것은 바른 불교 관행이 아니라고 하면서 교관겸수를 주창하였다. 그는 교관겸수 사상에 의거하여 당시의 교종은 물론이거니와 선종까지 포섭하여 고려의 천태종을 개창하였다.

◇ 내외겸전

교종(敎宗)을 공부하는 사람은 내적인 것을 버리고 외적인 것만을 구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반면에 선종(禪宗)을 공부하는 사람은 외부의 대상을 잊고 내적으로만 깨달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모두 양극단에 치우친 것이므로, 양자를 골고루 갖추어〔內外兼全〕안팎으로 모두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의천의 주장이다.

지눌(1158~1201)의 사상

교학과 선(禪) 불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한 화해와 공존을 모색함

선종과 교종에서 말하는 궁극의 진리가 전혀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교종의 가르침이 선수행에도 유용한 도구적 효용성이 있다고 봄

깨달음에 이르는 선 수행의 한 부분으로서 교학을 받아들임 → 선종과 교종의 공존 모색

돈오점수(頓悟漸修)

◇ 돈오점수(頓悟漸修)

돈오

'내가 곧 부처'라는 사실을 단번에 깨달음

'마음이 부처'라는 사실에 눈을 뜨는 것이며, 자기 존재에 대한 명확히 파악하는 것임

점수

오랜 번뇌로 말미암은 나쁜 버릇, 즉 습기(濕氣)를 제거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닦아 깨달은 대로 행함 → 온전한 부처 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음

◇ 돈오점수와 정혜쌍수

돈오점수

자기 안에 부처의 본모습이 있음 을 문득 깨닫고, 그 깨달음을 붙들 기 위해 욕망을 다스려야 함

정혜쌍수

마음이 고요하며 안정된 상태[定] 에 이르기 위해서는 교학에도 힘을 써 참된 지혜[慧]를 구해야 함

◇ 지눌의 돈오점수

지눌은 자기 본성을 돌이켜보아 그것이 곧 부처라는 깨달음을 얻는 것을 돈오라고 하였다. 이는 이론적으로 천착하여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본래 자기가 곧 부처라는 것을 홀연히 깨치는 것이다. 한편, 돈오했다고 하더라도 무명의 습기를 없애려면 오랫동안 닦아야 하기에 점수라고 하였다.

지눌은 돈오와 점수의 관계를"어린아이가 육근(六根)이 다 갖추어져 있는 것이 어른과 다름이 없음을 알 때 돈오요, 어린아이의 육근이 점점 공훈(功勳)을 들여 성장 하는 것이 점수이다."라고 비유하여 말하였다.

정혜쌍수(定慧雙修)

점수의 구체적 내용을 밝힌 것으로, 정(定)과혜(慧)를 함께 닦아야 한다는 것

지눌은 마음의 본체와 작용이 분리될 수 없듯이, 정과 혜도 항상 함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정혜쌍수(定慧雙修)

정(定)

산란한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조용하게 하는 것 → 마음의 본체

혜(慧)

사물을 사물대로 보는 것 → 마음의 작용

간화선(看話禪)의 수행법 수용

의심의 대상이 되는 화두(話頭)가 있을 때 마음을 집중함으로써 그 의심이 깨지기를 기다리는 수행법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64924

그리고 교종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고하세요.

교종의 인간관

|

|

|

|

오류 수정 문의

불교의 도입

1. 다양한 종파의 도입 삼국 시대에 중국에서 대승 불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종파가 도입됨

2. 국가적 수용 불교를 통해 국가 체제를 체계화하고 민심을 안정시키려고 함

◇ 국가적 수용

호국 불교의 성격을 띠게 되었던 원인이기도 하다.

◇ 불교의 도입과 원효의 사상

불교의 도입과 국가적 수용원효:화쟁과 일심, 불교의 대중화

◇ 불교의 도입과 전개

불교는 대체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중앙 집권 국가로서의 체제를 정비할 무렵에 전래되거나 공인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불교의 수용이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삼국에서 불교를 받아들이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왕실이었다. 불교가 고대 국가의 정신적 지주였을 뿐만 아니라, 왕권의 신장과 국가의 평안, 국민의 정신적 통일에 크게 도움이 되었으므로 국가에서 적극 장려하여 발전하도록 했던 것이다.

불교의 전래와 수용 양상을 보면, 초기에는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가 뒤섞여 들어왔으나, 중국 교학의 영향으로 대승 불교가 주류를 이루었다.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삼론(三論)을 비롯한 대승 불교가 유행하였고, 신라에서 역시 열반·화엄 등의 대승 교학이 성하였다.

특히 백제에서는 율종이 성행하여 계율주의적 실천 불교의 성향을 띠게 되었다. 대승 불교 위주의 경향은 삼국 시대 이래로 우리나라 불교의 큰 특징 중 하나로 이어져 왔다.

삼국 시대에 전래된 불교는 인간 사회의 갈등과 모순을 종교적 차원으로 끌어올려 해소하려하는 등 주로 정신적 측면에서 고등 종교로서의 큰 구실을 하였다. 또한 서역과 중국의 문화를 우리나라에 전달하여 고대 문화의 발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국가 차원에서는 국민을 사상적으로 통합하여 국력을 강화시키고, 중앙 집권화를 강화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었다.

교종의 도입

교종

부처의 말씀인 경전을 근본 종지로 하는 교단으로, 교리의 체득을 중시함

교리에 대한 이해와 계율의 실천을 통해 모든 생명체의 성불(成佛)가능성을 열어둠

◇ 교종

불교에서 '교(敎)'란 부처의 말씀을 가리키며, 부처의 마음을 '선(禪)'이라 한다.

◇ 교종(敎宗)

부처님의 설교(說敎)·경론(經論), 곧 언어와 문자로써 수행하는 불교의 종파이다. 대표적으로는 천태종과 화엄종(華嚴宗) 등이 있다.

원효(617~686)의 사상

원효 사상의 주요 특징

불교 사상에 대한 통합적 이해 → 독자적인 불교 이론 정립

화쟁(和爭)

자기 중심적이고 분파적인 생각을 버리고 부처의 근원적인 가르침으로 돌아가야 함

모든 이론 및 종파의 특수성과 상대적 가치를 충분히 인정하면서 전체로서의 조화를 꾀함

◇ 화쟁 논리의 근거

원효의 화쟁은 불교 이론들 사이의 다툼을 화해 시키는 것이다. 그는 여러 불교 이론들이 서로 다투어서 쟁론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진리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자기 이론에만 집착하기 때문이라고 하여 여러 이론들을 화해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원효가 주장하는 화쟁은 궁극적으로는 일심의 경지에 돌아가게 하기 위한 것이며, 화쟁의 완성은 일심에 돌아감이라 할 수 있다.

◇ 원효의 화쟁 사상의 의의

원효가 살았던 당시 불교계는 교리상의 견해 차이로 이론이 분분하였다. 통일을 준비하는 신라의 입장에서는 사상의 통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히 요구되었다. 이에 원효는 여러 쟁론들을 하나로 회통시켜 '화쟁'하는 일에 전력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어떤 특정 종파에 치우치지 않았고, 또 특정 교학을 고집하거나 버리지도 않았다. 모든 학설을 존중하는 가운데 이를 융화시켜 자기의 한 사상 체계 속에 아울렀던 것이다. 그가 여러 경전을 주석한것 역시 종파주의적 입장을 지양하고 불교의 이론적 통합을 꾀하였기 때문이다.

◇ 원효의 일심 사상

일심은 원효의 전체 사상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그가 말하는 일심은 모든 것의 근거이며 평등하고 무차별하다. 그는 불교의 모든 사상들의 특유한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중생의 구제에 중점을 두고 일심 사상을 실현해 나갔다.

불교의 대중화에 공헌

무애행의 실천:표주박에 '무애(無碍)'라는 글을 새겨 전국을 돌아다니며 하층민들과 더불어 노래하고 춤을 추면서 염불을 외면 극락에 갈 수 있다고 교화함

글을 모르는 사람도 불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함 → 왕실 중심의 불교를 민중 불교로 전환함

◇ 무애행의 실천

''일심으로 돌아가서 모든 생명을 이롭게 하는 일'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 '무애(無碍)'

막히거나 거칠 것이 없다는 뜻이다.

통일 신라의 불교

◇ 통일 신라의 불교

교종의 전성기

경전 연구와 불교 이론 정립, 포교를 통한 대중 불교의 형성

선종의 도입기

통일 신라 말기에 지방 호족을 중심으로 선종이 지지를 받음

공부는 영수

​영어는 기림출판사 영포자 1등급 만들기 추천드립니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27582617?scode=032&OzSrank=2

교종과 선종

... 무시하세요~ 교종과 선종 ~ 교종과 선종의 기본적 교리는 같습니다. 다만, 깨달음을 이루는 방식에 따라, 교종과 선종를 구별합니다. 즉, 교종은 연기설등 여러 논리적...

원효 의상 교종?선종?

... 비교 교종 선종 의식 · 교리(경전) 중심, 전통과 권위 중시 개인의 종교적 각성 · 참선 중시, 형식과 권위 부정 왕실 · 중앙귀족의 지지세력 확보 지방호족 · 6두품의...

교종 선종 호족

... 교종 선종 호족은 다 같은 위치인가요? 아니면 교종과 선종-호족 하는 일이 다르나요? 1.시기 구분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교종은 귀족, 선종은 일반백성에서...

교종과 선종 비교해주세요

... 활용해서 교종 선종 비교하는 글을 논술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추가내공 500 불교 구분 요약한다면 다음과같습니다 교종-경전에의거하여불교의진리를터득학문적불교 선종...

선종승려, 교종승려

... 선종교종은 왕이 아니라, 불교 종파의 이름입니다. 불교는 크게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중, 한반도에서는 대승불교를 수입해왔구요. 대승불교...

고려 불교는 왜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

고려 불교는 왜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려고 노력하였을까요 ?? 불교의 가르침과 수행은 사실 구분할 수 없는 하나입니다. 그런 점에서 교종은 경전 중심으로, 선종은 참선...

교종이랑 선종 옛날 왕 아닌가요?

... 교종과 선종은 불교의 수행방법을 말하는 것입니다. 교종은 경전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말하고 선종은 자기수련을 통한 수행방법을 말합니다. 신러시대의 고승, 원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