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과학]물질의 특성

[중2과학]물질의 특성

작성일 2021.08.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3문제 모르겠는데 질문에 맞게 알려주세요]

[1번 사진]
-증기는 액체가 끓는점을 넘어서 기체가 된건데 액체 혼합물을 흔드는데 왜 증기가 생기죠?
-내부압력과 대기압이 같아져 액체가 잘 흘러내린다 이게 무슨 말이죠?
-애초에 흘러내릴 수 있다는건 구멍이 있다는건데 중력에 의해서 액체가 흘러나와야 하지 않나요?
(3개)

[2번 사진]
-첫 번째 그림에서 액체가 기화되어서 두번째 사진에 다시 액화가 될 수 있는거잖아요? 근데 끓기 직전까지만 온도를 올리는데 어떻게 기화가 되죠? 그리고 애초에 위에 마개를 닫지 않았는데 기화된 수증기는 다 날라가지 않나요?
-두 번째 사진에서 수증기가 액화되면서 왜 압력이 줄어요?
수증기가 있으면 압력이 높은건가요?
(2개)

[3번 사진]
-이건 재결정 자체에 대한 질문인데요
만약 ㄱ물질을 70.3g을 넣고 ㄴ물질을 37g넣었으면
20도로 냉각했을 때 두 물질 다 석출 되는데 이럴땐 어떡하죠? 두 물질 다 석출되는 경우요
-재결정 할 때 혼합물을 분리하는거잖아요? 혼합물을 분리하고자 처음 딱 봤을 때 안에 어떤 물질이 몇g들어있는줄 어떻게 알죠?
(2개)

진짜 많은데 친절하게 알려주세요 ㅜ









#중2과학 물질의 특성 #중2과학 물질의 특성 기출문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번 사진]

-증기는 액체가 끓는점을 넘어서 기체가 된 건데 액체 혼합물을 흔드는데 왜 증기가 생기죠? : 액체 혼합물을 흔들면, 흔드는 순간에 액체 분자의 운동이 커지고 & 증발할 수 있는 표면적이 순간적이지만 증가하므로, 증기가 더 많이 생깁니다.

-내부압력과 대기압이 같아져 액체가 잘 흘러내린다 이게 무슨 말이죠? : 예를 들어, 님이 빨대를 꽂아서 음료수를 마실 때, 빨려진 액체 부피 만큼의 공기가 들어가야 음료수가 잘 빨려서 나옵니다. 즉, "-내부압력과 대기압이 같아져 액체가 잘 흘러내린다"입니다.^^

-애초에 흘러내릴 수 있다는 건 구멍이 있다는 건데 중력에 의해서 액체가 흘러나와야 하지 않나요? : 둥근바닥 플라스크이므로, 중력에 의해 아래로 액체가 흘러내리기는 합니다만, 흘러내린 액체 부피 만큼의 공기가 들어가야 잘 흘러서 내리는데, 공기가 아래로 나오는 액체 사이로 내부로 들어가기에는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공기가 들어간대도 공기가 들어가는 소리가 나면서 액체가 흔들려서 잘못하면 서로 다른 액체끼리 순간적으로 섞일 수도 있습니다. (님이 다 마시고 난 생수병에 수돗물을 담아서 거꾸로 해보시면, 제 설명이 이해가 갈 것입니다.^^)

그래서 위의 고무 마개를 살짝 열어주면서(밑으로 흐른 부피 만큼의 공기가 위에서 들어오게 함) & 중간에 액체 흐름을 막거나 여는 "클램프"를 손으로 잡고 돌리는 것입니다.

(3개)

[2번 사진]

-첫 번째 그림에서 액체가 기화되어서 두 번째 사진에 다시 액화가 될 수 있는 거잖아요? : 예, 그렇습니다.

근데 끓기 직전까지만 온도를 올리는데 어떻게 기화가 되죠? : 끓기 직전이므로 온도가 거의 99.9℃입니다. & 물은 가만히 두어도 기화(증발)하는데, 끓기 직전까지의 동안에 물이 이미 많이 기화하여 플라스크 빈 공간에 많이 있습니다. 기체 수증기는 우리 눈에 안 보입니다. 수증기가 되면, 부피가 액체 물일 때보다 1570배 정도 늘어나면서 공기(기체) 성분의 일부가 됩니다. 즉, "기체 부피 증가"입니다.

그리고 애초에 위에 마개를 닫지 않았는데 기화된 수증기는 다 날라가지 않나요? : 님이 라면을 끓일 때, 아무래도 냄비 뚜껑을 열어놔도 냄비 안에 있는 공기에 수증기가 바깥보다 훨씬 많은 것과 같습니다.

-두 번째 사진에서 수증기가 액화되면서 왜 압력이 줄어요? : 수증기가 되면, 부피가 액체 물일 때보다 1570배 정도 늘어나면서 공기(기체) 성분의 일부가 됩니다. 즉, "기체 부피 증가"이었는데, 수증기가 다시 액화하면 수증기만의 부피가 1/1570 로 물로 되므로 기체 부피가 많이 감소합니다.

수증기가 있으면 압력이 높은 건가요? : 수증기가 있다고 압력이 높은 건 아니고, 수증기가 액화하면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바로 전보다는 낮아집니다. 그래서 님이, '수증기가 있으면 압력이 높은 건가요?' 하고 묻게 된 것입니다. 위에서 제가, "수증기는 공기 기체의 일부이다."라고 했습니다.

(2개)

[3번 사진]

-이건 재결정 자체에 대한 질문인데요

만약 ㄱ물질을 70.3g을 넣고 ㄴ물질을 37g넣었으면

20도로 냉각했을 때 두 물질 다 석출 되는데 이럴 땐 어떡하죠? 두 물질 다 석출되는 경우요. : 실제로 실험을 하거나 출제를 할 때는, (여기서는 80℃에서 ㉠은 70g ~ 78.2g 정도만 녹이고 ㉡은 36.0g 밑의 양을 녹여서 실험을 합니다. 그래서 20℃로 식혀도 ㉡은 석출이 되지 않게 출제가 됩니다. 그리고 물 100g에 두 물질을 함께 녹여도 두 물질 모두 용해도 만큼의 질량이 녹여집니다. 그래서 "온도의 차이에 따른 용해도의 차이가 작은 물질"은 석출이 되지 않게 출제가 됩니다.

ㄱ물질을 70.3g을 넣고 ㄴ물질을 37g넣었으면

20도로 냉각했을 때 두 물질 다 석출 되는데 이럴 땐 어떡하죠? : 이런 문제는 출제가 안 됩니다.

-재결정 할 때 혼합물을 분리하는 거잖아요? : 예, 그렇습니다.

혼합물을 분리하고자 처음 딱 봤을 때 안에 어떤 물질이 몇g 들어있는 줄 어떻게 알죠? : 문제 자체에서 모두 명시되어서 출제가 되므로,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

중2 과학 물질의 특성

물질의 어는점, 녹는점, 끓는점이 물질의 특성인건 이해가 되는데 혼합물의 어는점, 녹는점, 끓는점도 물질의 특성이 맞나요? 일정하지가 않으니까 아니지 않나요.. 문제집엔...

중2 과학 물질의 특성 용해도

용해도는 물질의 특성이잖아요 물질의 특성이라는 것은 양에 관계 없이 일정해야하잖아요 근데 ”고체의 용해도는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라고 써있는데...

중2 과학 물질의 특성 발표주제 추천

중2-2 과학 발표 주제 좀 추천해주세요 물질의 특성이 아니더라도 2학기 한정 다 괜찮긴해요 최대한 많이 부탁드려요... 흥미롭거나 기발한,생기부에 잘 적힐만한...

중2 과학 물질의 특성

물질의 특성 (녹는 점 어는 점)을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연결 지어 표현하기인데 어떤게 물질의 특성이 우리 주변과 연결 되나요 (내공800) 안녕하세요. 물질의...

중2 과학 물질의 특성

... 중2 과학 물질의 특성 물질의 특성을 이용해서 혼합물과 순물질을 어케 구별하죠? 순물질과 혼합물의 구별 순물질은 끓는점과 녹는점(어는점)이 일정하지만, 혼합물은...

중2 과학 물질의 특성 문제입니다.

중2과학 물질의 특성 문제입니다. 문제오류는 아닌지? 정답이 있다면 몇번이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표는 몇 가지 물질의 부피와 질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밀도가...

중2과학, 물질의 특성 문제입니다.

중2 과학, 물질의 특성 문제입니다. (가)에서 농도가 진해지는 이유는 물이 증발하기 때문인데 (나)에서 농도가 진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