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로드 자전거 입문하려고 하

하이브리드/로드 자전거 입문하려고 하

작성일 2018.04.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하이브리드/로드 자전거 입문하려고 하는 사람입니다.
그냥 도서관 왔다갔다하거나 마실 가거나 장거리로 가도 20km이상은 안 갈건데요!
제가 탈 자전거는 다를 기능 복잡한거 필요없고 그냥 가볍고 빠르기만 하면 되거든요. 그냥 진짜 달리기용이요.

인터넷눈팅 결과 제 목적에 맞으려면
자전거 살때 프레임과 구동계 이 2개만 보면 될 것 같아요!
근데 자전거 사려고 보니까 분명히 부품 등급들이랑 용어들 다 익혔다고 생각 했는데 제원표 읽는 게 좀 힘드네요..
그럼 본격적으로 질문들어갈게요

1. 저 용도로 쓸 자전거 구입할때 프레임, 구동계만보고 사면 될까요?? 제 얄팍한 지식으로는 구동계안에 브레이크, 변속기, 크랭크, 스프라켓, 휠셋 다 포함되는 것 같은데 일반적으로 시마노 클라리스 급을 샀다고하면 프레임 말고는 거의 다 시마노 클라리스 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중간중간 다른 급들이 섞여 있는 경우가 더 많나요?

2.위 처럼 생각해보면 자전거가 부품등급은 비슷한데 진짜 가격들이 굉장히 다양하더라구요.. 분명 브랜드값 다른 작은 부품들 값때문에 다른 것 같은데, 제가 생각하는 게 틀렸나요? (Mtb자전거가 아닌 이상 자전거 부품이 그리 다양하지 않은 것 같던데ㅣ..)
초보가 모든 걸 다 따져서 자전거 구매하기는 힘들죠?ㅠ

3.제가 구입하려는 후보로 삼고 있는 모델이 있는데 제원표를 읽다가 힘들어서 여쭤보고 싶어요!
이 사진에서(사진은 젤 아래쪽에 있어요)
1)프레임이 알루미늄이긴한데 알룩스 급의 알루미늄이라네요.. 제가 아는 바는 철 크로몰리 알루미늄 타타늄 등등인데 알룩스 급의 알루미늄이라고 하면은 제가 어떻게 받아들여야하나요?ㅠ

2)저는 변속기종류를 mtb는 투어니 알투스 아세라... 등등 로드는 클라리스 2300 소라 티아그라.. 등등 으로 알고 있는데 여기 변속기는 Shimano SL-M310 이런식으로 나와있길레 쳐보니까 아세라급으로 나오더군요. 근데 Shimano FD-M191은 알투스로 나오구요. Shimano Cs-HG31은 딱히 급이 없네요(스프라켓은 급이없나요?)
Shmano뒤에 영어랑 숫자부분은 어떻게 받아들여야하나요?? FD는 앞 RD는 뒤 같은데...M310은 무조건 아세라급 이런건가요?

3)휠셋(타이어 림 허브 등등..)은 어느정도 좋은 건지 어떻게 따져야하나요?

4.윗 모델을 제가 중고나라에서 찾다가 봤는데요(제원표랑 같은 모델이에요!)
링크 남길게요 http://cafe.naver.com/joonggonara/464524271
가격대비 어떤가요? 그리고 제가 타려는 목적과도 비교해서요.

5.구동계 등급이 mtb 로드 따로 구분지은건 뭐때문이죠? Mtb자전거에 로드 구동계를 쓰면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또 아세라 급이면 로드에서는 어느정도 등급으로 보면 되나요?

6.중고자전거라 자전거 초보가 사기 좀 그런가요..?
처음에 중고 직거래할때 어디어디를 보고 사야할까요? 구체적으로 이리저리 다 훑어봐야할 것 같은데..

7. 저는 20~30만원대의 자전거를 생각하고 있는데 혹시 추천해주실 만한 것 있으신가요?



#자전거 하이브리드 로드 차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아주 긴 질문글을 받아보네요.


저도 그럼 좀 길게 답변해볼까요.


1. 대부분 클라리스급이라고 하면 보통 3점셋만 하고 나온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 3점셋이란 변속계


    중에서도 앞드레일러, 뒷드레일러, 쉬프터만을 가리킵니다.


    또한 시마노 로드 등급에서도 각각의 등급에 따라서 부품군의 숫자가 다른데요.


    클라리스급에서는 이렇게 3점셋만 하는 경우 외에 브레이크나 크랭크 등을 붙이는 경우는 매우 드

 

    뭅니다.(예외는 메리다 스컬트라 100, 2018년형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그러므로 3점셋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단가를 낮추기 위해 여러가지 부품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클라리스급은 기존 클라리스급 외에 신형 클라리스(R2000)가 나와있다는 점도 체크하세요.


    신형클라리스(R2000)이란? 클릭


2. 다른 제품들도 마찬가지겠지만 제품의 브랜드 또한 분명히 값이 매겨져야합니다. 당연하겠죠?


    또한 앞서 언급했듯이 자전거의 근간인 프레임에서 가격차이가 많이 날 수 있구요.


    3점셋을 제외한 부분에서도 큰 차이가 납니다.


    카본 포크라던지, 크랭크, 브레이크 등은 낱개로 따로 주문하면 가격차이가 아주 크게 납니다.


    그리고 같은 제품이라도 판매처, 연식, 프로모션 등에 따라서 또 가격이 달라집니다.


3. 1) ALUXX는 해당 제품 브랜드에서 말하는 알루미늄 합금입니다. 알루미늄은 아주 많은 형태의 합


    금이 있는데 들어가는 첨가물의 종류, 양에 따라서 엄청나게 많이 나뉩니다. 강성, 탄성, 제작편의


    성, 내구성 등에서 각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서 브랜드마다 자기것이 좋다고 PR을 하는 거죠.


    해당 명칭은 어떤 알루미늄 합금의 등급이라기보다는 위 제품 제작사에서 답변확정한 알루미늄 합금


    을 특정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브랜드 밸류가 어느 정도 있는 회사인 만큼 당연히 프레임 재질, 기술력 등에서 일정 수준은 담보

  

    해준다고 보면 되겠구요.


3. 2) 규칙을 공부할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FD는 Front Deraileur라는 건데 앞드레일러입니다.


    RD는 Rear(뒤)겠죠?


    아세라를 예로 들었는데 그건 좀더 애매한 표현입니다.


    왜냐면 아세라라는 등급을 사용한지가 오래됐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2010년의 아세라와 2018년의 아세라가 같은 제품일까요?


    당연히 아닙니다. 더 개량됐습니다.


    그럼 둘다 같이 아세라라고 하는 게 오히려 이상하겠네요.


    그래서 구형 혹은 기존 아세라, 신형 아세라 등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만 정확하게는 아니죠.


    아세라 뒷드레일러의 경우 기존 제품은 RD-M360으로 7/8단을 지원하지만 신형은 RD-M3000


    으로 9단에 대응합니다.


    생김새도 전혀 다르죠?


    그리고 기존 아세라가 7/8단 대응했다면 그보다 아랫급으로 책정된 알투스급 같은 경우 신형은


    9단까지 대응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보기도 어렵습니다.


3. 3)휠셋은 구름성, 무게, 내구성, 강도 등을 봅니다. 그리고 물리적으로 접했을 때, 무게 감량을 했


    을 경우 같은 무게를 빼도 가장 효과적인 건 휠셋이 맞습니다.


    일정 수준을 확보하고 나면 디자인, 라쳇 소리 등도 따져보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전거 튜닝에서 가장 높은 비용이 드는 부분인만큼 쉽게 결정하기 어렵습니다.


    일단은 순정 휠셋을 사용하다가 바꿀 수는 있지만 기존 8~9단 대응 휠셋에서 구동계 변경없이


    11단용으로 가는 게 과연 얻는 게 무언지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휠셋을 올린다는 건 예산 확보과 그 쓰임의 순서까지 고려해야하므로 처음부터 고려할 것은 아니


    라고 봅니다.


4. 클라리스 얘기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Escape2가 나오네요. 약간 당황스럽습니다.


    이 제품은 아주 유명한 하이브리드 자전거인데요.


    최근에 나온 건 노펑크 타이어가 장착돼 있습니다.(18년형)


    신차가에 대비해 할인폭이 그리 크지 않고, 무엇보다도 사이즈가 XL입니다. 이 제품 XL은 매우 키


    가 큰 분에게 적용됩니다.


    중고는 변수가 많고, 거래에 따져볼 게 많은데 그런 걸 감수해가면서 몇만원 싸게 사는 건 아닌 거


    같기도 하구요.


5. 혼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보통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 원리까지 다 설명하긴 글이 너무 길어지


    겠네요.


    간단하게 뒷드레일러 얘기만 하면 MTB는 좀더 넓은 구간을 옮겨다녀야합니다. 로드는 뒷 스프라


    켓 톱니수가 가장 작은 것과 큰 것의 차이가 작지만, MTB는 1단인 경우 큰 스프라켓 톱니수가 매


    우 큽니다.


    작고 큰 이런 범위를 모두 커버하기 위해서는 드레일러의 움직임이 커야하며, 그에 따라 무게도 늘


    어나고, 좀더 높은 내구성을 확보해야합니다.


    반면 로드는 그렇게 많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좀더 가볍고, 단순한 구조를 먼저 생각하고, 그 뒤에


    변속 정밀성도 따져봐야할 것입니다.


    이렇듯 자전거 종류에 따라 원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기술도 다르게 개발되었고 실제로도 기능적


    으로 차이가 나게 됩니다.


    아세라급으로 보면 글쎄요. 소라급 정도로 이래하면 어떨까 싶네요.


6. 네 중고거래는 생각할 게 많아서 쉽지 않습니다.


    기본 중에 기본은 반드시 직거래할 것이며, 만나서 가까운 샾에 가서 같이 검수 받고 확인한 다음에


    인수인계하는 겁니다.


    이 원칙이 지켜지지 않으면 아무리 좋다고 해도 패스해야죠.


    아래는 예전에 정리한 글인데 읽어보세요.


    중고거래시 살펴볼 사항 : https://blog.naver.com/posters72/220067764805


7. 아래는 신차입니다. 참고하세요. 온라인 기준이며 조립비/배송비 포함해 3~4월에 정리한 거네요.


    https://blog.naver.com/posters72/221047815833


답변이 길어졌네요. 읽느라 힘들었을 거 같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할게요.




자전거 입문하려는데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자전거입문하려고 하려 합니다. 정말... 생겨서 ... 1. 로드 바이크는 잘 깔린 자전거 도로... 괜찮은 로드바이크, 하이브리드 자전거...

로드 자전거 입문

지금껏 하이브리드 자전거만 타다가 이번에 중고로 로드 입문해보려 하는데 로드 입문하기 힘든가요? 기어 변속하는것도 하이브리드랑 달라서 모르겠네요 입문하기 힘들진...

로드자전거입문 비앙키 니로네

로드자전거입문하려고하는데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비앙키 니로네 보고있는데... 자전거타는걸 좋아하는데 저렴한 하이브리드자전거타다가 비앙키봤는데 예쁘기도...

로드하이브리드 입문 자전거 추천

... 합니다 로드하이브리드 중에서 살려고하는데 어느게 더 좋을까요?(픽시x)... 괜찮은 자전거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랑.....같은 계획이시네여ㅛ...... ㅋㅋ...

하이브리드 자전거로드자전거 입문하...

제가 무릎연골이 좀 손상되어서 병원에서 사이클을 타면서 무릎 주변의 근육을 좀 강화시키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하이브리드 자전거로드자전거를 시작해보려 합니다....

로드 자전거 입문..

... 갖고있는 자전거하이브리드 자전거인데... 한강변에서 자전거타면 쐐액 거리고 달려나가는 로드자전거를... 저도 입문할때 걱정이 많았는데 그냥 타니까 알아서 실력이...

입문 로드자전거(or유사로드...

... 다이어트중인데 매일 걷기를 하는게 지루하다 보니 자전거를 타고싶은데 MTB보다는 로드(하이브리드 드롭바)를 타고싶더라고요. 프레임은 몸무게 영향없는 건 알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