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의 이더리움 증권성 판단과 현물성 ETF 상장 승인 가능성 > 이슈

SEC의 이더리움 증권성 판단과 현물성 ETF 상장 승인 가능성

작성자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4-05-24 08:46 댓글 0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더리움의 증권성 논란과 현물 ETF 승인 가능성

가상자산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이더리움에 대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태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SEC는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기능을 증권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승인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SEC가 이더리움 ETF 운용사들에게 서류 수정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시장에서는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이 커졌다는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더리움 가격도 17%가량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17165078501471.png

 

 

 

SEO의 이더리움 증권성 판단과 ETF 승인 가능성

SEC는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기능을 증권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하여 새로운 블록 생성을 검증하고 그 대가로 추가 자산을 지급받는 '스테이킹'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SEC는 이러한 이더리움의 특성이 증권의 성격을 지닌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더리움이 증권으로 분류된다면, 이를 판매하는 행위가 SEC 등록 없이는 불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승인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이 대다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SEC가 이더리움 ETF 운용사들에게 19b-4 서류(거래규칙변경 신고서)의 수정 및 재제출을 요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분위기가 바뀌고 있습니다.

 

이는 SEC가 이더리움 ETF 승인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특히 SEC가 비트코인 ETF 승인 직전에도 유사한 움직임을 보였던 점을 감안할 때, 이더리움 ETF 승인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ETF 애널리스트들은 이더리움 ETF 승인 확률을 25%에서 7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다만 실제 이더리움 ETF의 상장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SEC는 ETF 상장을 위해 거래규칙변경 신고서(19b-4)와 증권신고서(S-1) 모두 승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 수주에서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1716507852039.jpg

 

 

 

 

이더리움 ETF 승인 기대감과 가격 급등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이더리움 가격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업비트 기준 이더리움 가격은 전일 대비 17.15% 오른 5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SEC가 이더리움 ETF 운용사들에게 서류 수정을 요구한 것이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면서, ETF 애널리스트들은 승인 확률을 크게 높였습니다. 하지만 실제 승인까지는 수주 내지 수개월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례는 규제 당국의 입장 변화가 가상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투자자들은 SEC의 향후 행보를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이더리움의 증권성 여부에 대한 SEC의 판단이 이더리움 투자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17165078537188.jpg

 

 

 

용어정리

1. SEC :  United State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2. ETF(Exchange-Traded Fund) : 주식시장에 상장된 투자펀드입니다. 일반적인 펀드와 달리 ETF는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ETF는 주로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형태로 운용되는데,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지수 수익률을 손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3.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기능 : 투자자가 자신이 보유한 이더리움을 네트워크에 맡기면 네트워크 보안 유지에 기여할 수 있고, 그 대가로 추가 이더리움을 지급받는 것입니다. 이는 마치 예금에 돈을 넣으면 이자를 받는 것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