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가들의 남녀 성별 임금 격차, 한국은? by voronoiapp.com > 이슈

OECD 국가들의 남녀 성별 임금 격차, 한국은? by voronoiapp.com

작성자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4-05-23 08:14 댓글 0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같은 회사에서 같은 일을 한다면 같은 임금을 받는 게 합리적이지만, 세상은 그렇게 합리적으로만 돌아가지는 않죠. 여러 이유를 붙여 임금에 차별을 두는 회사가 많은데 가끔 이런 차이는 회사를 넘어 나라 전체가 차별을 일상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잘못된 문화로 굳어진다는 얘긴데... 아마 성별에 따른 임금 차이도 그런 폐해가 아닐까 싶습니다. 같은 일을 같은 수준으로 한다면 임금 차이가 나면 안 될 듯한데 능력차나 개인차도 아니고 성별차이라니...

 

남녀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OECD 국가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22년 자료를 바탕으로 voronoi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OECD 국가 중 성별에 따른 임금 차이가 큰 나라와 작은 나라를 비교한 자료인데요. 남녀 정규직 소득 중간값을 남성 정규직의 소득 중간값으로 나눠 임금 격차를 계산했다고 하는데 조금 충격을 받았네요.

 

17164195402266.webp


충격의 이유는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가 가장 큰 나라로 대한민국이 꼽혔기 때문입니다. 남녀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는 무려 31.2%. OECD 평균이 11.6%이니 평균의 3배 가까운 차이더라고요. 그 뒤를 이스라엘(25.4%), 라트비아(24.9%), 일본(21.3%), 사이프러스(20.8%), 에스토니아(20.5%), 몰타(17.9%), 캐나다(17.1%), 미국(17%), 멕시코(16.7%) 순으로 임금 격차가 나고 있었습니다.

한국의 큰 성별 임금 격차 이유를 호봉제 때문에 근속 연수가 길어야 더 임금이 높아지는 한국에서 자녀 양육 등으로 여성의 경력이 단절되기 때문으로 소개하고 있던데 경력 단절이 없으며 같은 대우일까요? 흠. 슬프게도 그건 아닌 거 같은데 말이죠.

 

17164195415749.webp


반면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가 없다시피 한 나라도 있었습니다. 고작 0.4% 차이 밖에 나지 않은 룩셈부르크였는데 정부가 동일 임금 정책을 우선 시 하면서 동일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회사에겐 최대 25,000유로(3,700만 원 정도)의 벌금을 물리고 여성의 높은 교육률까지 더해 지면서 이른 차이 없는 임금 체계를 만들었다고 하네요.

이어서 벨기에(1.1%), 코스타리카(1.4%), 콜롬비아(1.9%), 아일랜드(2.0%), 크로아티아(3.2%), 이탈리아(3.3%), 노르웨이(4.5%), 덴마크(5.8%), 포르투갈(6.1%) 순이었는데 유럽 국가들은 당연히 그랬을 거 같았다는 느낌인데 코스타리카나 콜롬비아의 성별 임금차이가 적다는 건 흥미롭네요.

능력이나 성과에 따른 임금 차이와 성별에 따른 임금 차이. 이 차이를 당연하게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우리도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먹고사니즘에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면서도 이제껏 그래왔으니 그냥 그렇게 살아가야 하는 건 아니겠죠? 여성의 사회 진출이 많아진 만큼 계속 논의되어야 할 문제가 아닐까 싶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