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일부터 건강보험 본인확인 제도 시행, 병원갈때 신분증 꼭 지참하세요 > 이슈

5월 20일부터 건강보험 본인확인 제도 시행, 병원갈때 신분증 꼭 지참하세요

작성자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4-05-20 16:12 댓글 0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보건복지부는 5월 20일부터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된다고 밝혔습니다. 깜빡하고 신분증을 안 가져오신 분들, 이 새로운 제도를 모르셨던 분들 등 첫날부터 시행착오는 생길 것으로 예상이 되기는 하는데요.

 

 

 

건강보험 본인확인 제도에 대한 자세한 사항, 즉,  어떤 신분증을 가져가야 하는지, 혹 신분증 지참 예외의 경우도 있는지,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어떻게 발급받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7161890332758.png병, 의원 진료시 신분증 지참 의무화

 

 

 

신분증 지참 의무화 내용

1. 신분증 지참 의무화를 하는 이유

▶ 가족이나 지인, 혹은 분실한 신분증으로 병원이나 약국을 방문하여 적발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신분증의 도용을 막기 위함입니다.

주료 수면제나, 마약류 등의 의약품을 처방받기 위해 신분증을 도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향정신성 의약품 부정수급을 막기 위함입니다.

 실제 건강보험이 없으신 분들이 신분증을 도용해서 진료와 약처방을 받아 적발된 건수가 2023년에는 4만건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런 건강보험 부정사례의 누적을 막기 위함입니다.

 

2. 신분증 인정 범위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장애인등록증

▶ 외국인등록증

▶ 국가보훈등록증

모바일신분증- 아래 자세히 설명

▶ 건강보험증

모바일 건강보험증 -아래 자세히 설명

 

3. 신분증 지참 예외 경우

 

▶ 19세 미만, 미성년자. 단 보호자의 신분증 필요할 수 있

▶ 처음 신분증으로 본인 확인 후 동일 의료기관에 6개월 이내 재진료 보는 경우

▶ 응급환자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2조 1호에 해당하는 경우), 추후 건강보험 적용 위해 신분증 또는 자격 인증 필요

▶ 타 병원에서 신분증 확인 절차 완료 후 진료의뢰를 받은 환자

▶ 병원에서 신분증 확인 절차 완료 후 병원지료를 보고 처방전을 받아 약국에서 약 구입할 경우

▶ 거동이 현저히 불편한 경우

▶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한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17161890375248.png의료가관 방문 시 신분증 지참 의무화

 

4. 의무 위반 시 제재사항

 

▶ 건강보험 자격을 부정하게 사용한 경우 대여해 준 사람과 대여받은 사람 모두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정 사용한 금액은 환수됩니다.

▶ 본인 확인을 하지 않은 요양기관은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 받게 됩니다.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안내!!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모바일 신분증은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지니고 있는 국가 신분증으로 본인확인이 필요한 모든 곳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즘, 지갑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죠? 모바일폰에 카드결제도 월렛을 통해 다 하고요. 마찬가지로 신분증도 모바일폰에 저장해 두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모바일신분증 앱을 설치하면 운전면허증과 국가보훈등록증을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신분증 앱 설치 바로 가기 !!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 받기 위해서는 정부 24앱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정부 24 앱 다운로드 바로 가기!!

 

 개인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로그인부터 진행합니다. 로그인은 인증서, 아이디, 간편 비밀번호 외에도 네이버 카카오 등을 활용한 간편 인증으로 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메뉴를 찾으셔서 안내에 따라 실제 주민등록증을 준비한 다음 이어지는 순서에 따라 차근차근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이 모바일신분증은 실제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곳, 주민세터, 시청 같은 공공기관이나, 편의점, 술집에서의 성인 인증 시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신분 확인이 필요한 모든 곳에서 실물과 같은 효력이 있으니,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7161890411603.jpg17161890431327.jpg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만약 신분증을 잊어버리고 안 가지 오셨다면, 당황하지 말고 여러분의 핸드폰을 통해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바로 발급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앱 설치하고 본인 확인절차 진해하면 간단하게 발급받을 수 있는데요. 갤럭시는 플레이스토어에서 i-phone은 앱스토어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 검색 후 설치합니다.

1716189045456.png

 

▶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실행하면 개인을 선택합니다. 언어는 기본으로 한국어로 되어 있어서 확인 버튼 눌러주시고 기능접근 권한 안내 및 개인정보수집 약관에 동의를 클릭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알림도 허용하고요. 그리고 나면, 본인확인을 요하는데요. 본인명의 기기로 인증할 수 있고 한 사람당 하나의 기기만 인증됩니다.

▶ 휴대폰 인증, 금융인증서 인증 중 방식을 선택합니다

▶ 본인이 사용할 비밀번호 4자리 입력하시고요. 이후 생채인증도 나오는데 원하지 않으시면 나중에 하기 누르세요.

 

17161890504972.png

 

 

▶ 자,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이 완료되었습니다.

▶ 병원에서 본인확인 QR생성하여 병원스캐너에 읽히면서 본인 인증이 됩니다.

 

 

만약, 내가 신분증을 놔두고 왔다거나 모바일폰에 건강보험증을 발급받지 못하고 병원에 방문했다면, 먼저 비급여로 결제하고 2주 이내 다시 병원을 찾아 환급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건강보험 보험확인 제도는 타인의 건강보험 자격을 도용한 무임승차를 방지하여  건강보험제도의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입니다. 제도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여러분들께서 의료기관 방문 시 신분증을 꼭 지참해 주시고, 미 지참하신 경우에는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이용하셔서 원활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