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주년 5.18 민중항쟁 전야제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 > 이슈

44주년 5.18 민중항쟁 전야제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

작성자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4-05-17 19:44 댓글 0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7159425347141.png

1980년 5월의 봄, 민주주의를 향해 나아가던 무고한 광주 시민들을 처참하게 학살한 신군부 쿠데타 세력들과 계엄군, 그들로 인한 광주의 눈물과 상처는 40년이 넘는 긴 세월에 조금씩 무뎌지고 이제는 흐릿한 흉터로 남아 그날을 기억한다.

 

5.18 민중항쟁 전야제

5.18 민중항쟁을 기리기 위해 시작된 전야제는 5월 17일 금남로에서 5.18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그들의 용기를 기리며 오월의 정신을 나누기 위해 마련된 광주의 가장 중요한 기념행사이다.

 

올해는 5.18 민중항쟁 44주년을 맞아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차 없는 금남로에서 각각 높지 않은 세 개의 무대를 만들어 이머시브(Immersive) 공연, 즉 사면이 막히지 않은 세 개의 무대를 통해 각각 보고 듣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저마다 느낄 수 있는 감동과 감정에 충실히 몰입할 수 있도록 구상된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1715942538741.png

특히 44주년 5.18 민중항쟁 전야제 최명진 총감독이 연출한 본 공연에는 이 땅의 아픔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5.18 유가족(5월 어머니)과 더불어 세월호 유가족, 그리고 이태원 유가족까지 서로가 서로를 위로하고 모두가 모두의 아픔을 품어주는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을 담아내며 감동의 울림을 예고하고 있다.

17159425420708.jpg17159425459554.jpg
17159425505649.jpg17159425550187.jpg

44주년 5.18 민중항쟁 전야제

'언젠가 봄날에 우리 다시 만나리'

 

일시: 5월 17일 금요일 19시 ~ 21시

 

장소: 금남로 차없는 거리와 5.18 민주광장


17159425586882.jpg

5.18 민중항쟁 전야제 시놉시스 中

글: 최명진 (44주년 5.18 전야제 총감독)

 

1, 모두의 오월

 

여기저기 아픈 가슴을 부여잡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넘친다.

더 좋은 세상이 올 것이라는 바램은 어디로 갔을까.

미완의 민주주의를 향한 염원으로 오월 광주에 다시 서는 사람들.

광주는 그 모든 아픔을 보듬는 여우언한 성지이고 싶다.

 

광주의 오월은 모든 이들의 오늘을 비추는 햇살이다.

민주를 갈망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수 천 수 만의 목소리를 들리게 하자.

그렇게 모든이들의 오월이게 하자.

 

2, 하나되는 오월

 

지금 여기, 그 노래를 만난다. 그날을 만난다. 그 사람을 만난다.

그 이야기를 만난다. 그 모든 삶들을 만난다.

죽음을 넘어 오늘을 부여잡은 오월의 이야기는 다시 살아 이 공간을 춤추게 한다.

묶인 것이 풀리고 매임에서 해방되는 진정한 삶을 만난다.

 

오월은 여기에 멍추지 않고 나아간다.

상처받은 치유자, 아픔이 아픔을 끌어안고 하나되어 새로운 삶으로 전진한다.

대동세상을 열어간다.

 

3, 오월하다

 

모두의 오월은 각자의 삶이 스며든 저마다의 외침이다.

하나되는 오월은 서로의 삶이 연대하여 노래하는 공동체의 울림이다.

나와 너의 오월은 다르지만 고귀하고 아름답다.

그렇게 오월에 오월 하는 이야기를 따로 또 같이 나누며 광주를 만난다.

 

울고, 웃고, 노래하고, 춤추고, 지지하고, 격려받고,

박수받고,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고, 더하고,

빼고 나누고, 곱해가는 인생 한 판 GOOD판을 세운다.


 

이번 5.18 전야제는 상상력 있는 다양한 무대와 함께 음악의 흐름으로 극을 이끌어가는 국악적 베이스와 굿 판을 연상케 하는 놀라운 퍼포먼스가 아픔을 끌어안고 승화시키는 극적인 장면으로 연출된다.

 

또한 유튜버들의 실시간 동영상도 제공될 예정이다. 5월 17일 저녁 7시 금남로에서 하나되는 44주년 5.18 전야제, 그 가슴 벅찬 감동이 광주 시민뿐만 아니라 전 국민에게 전달되길 바란다.


17159425606888.webp사진출처: 위키백과

5.18 민중항쟁의 배경과 과정

 

작년 11월 관객들의 울분을 치솟게 만들었던 영화을 통해 이미 많은 이들이 대한민국의 부끄러운 역사, 그리고 군권과 정치적 치부를 알게 되었으리라 생각된다.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정치적 공백 상태가 발생하게 된 시기에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나는데 이때 군부를 장악한 전두환을 주축으로 그의 측근들과 함께 신군부가 이어진다.

 

신군부는 국가의 안정을 이유로 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대학의 폐쇄, 언론의 통제 등 강력한 억압 정책을 시행하게 되고 안개정국이 펼쳐지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광주시민들은 민주화와 인권 회복을 요구하며 민주화에 대한 열망으로 거리에 나서서 대규모의 시위를 거행하게 된다.

 

1980년 5월 18일, 광주에서 시작된 시위는 신군부에 의해 무자비하게 진압되었다. 계엄군은 무기를 사용해 무고한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했고, 많은 사람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으며 생사를 확인할 수 없는 사람도 부지기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주 시민들은 계엄군에게 굴복하지 않고 민주주의를 위해 끝까지 싸웠는데 이를 통해 그동안 폐쇄되었던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향한 여러 가지 문제점과 인권 탄압이 국내외로 알려지는 계기가 된다.

 

5.18 민중항쟁, 모두의 오월

 

광주에서 일어난 5.18 민중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 과정에 큰 영향을 미쳤던 사건으로 한국 사회에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나아가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지는 민주화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또한, 민주주의를 향한 광주 시민들의 항쟁과 그들이 겪었던 처참한 아픔의 기억은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권리의 기반이 되었기에 5.18 민중항쟁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기도 하다.

 

민주주의와 자유를 향한 5월의 정신은 혼자가 아닌 모두의 오월로 삭막한 서먹거림이 아닌 하나되는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기에 지금은 우리 모두 다시 촛불을 밝힐 때가 아닐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