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식기에 대해 아라보자.jpg > 인기 게시물

중세의 식기에 대해 아라보자.jpg

작성자 익명 작성일 2024-06-28 12:04 댓글 0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7195437907261.jpg



지금의 서양식 식기는 무딘 나이프와 포크, 스푼이지만
옛날에는 그 모습이 조금씩 달랐다



17195437918203.jpg



포크는 기원전 2400년(추정)부터 나타났고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 고대 중국 상나라, 고대 로마 등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고 구약성경에서도 언급된다(사무엘상 2장13절)

다만 이 시대의 포크는 식기가 아니라
조리기구 및 배식기구였다



식기로 사용하는 포크는 이후
4세기 동로마 제국에서 처음 발명되었다
9세기 페르시아에서도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며
10세기엔 중동에서 널리 흔하게 사용되었다

이후 동로마 제국 출신 테오파누 공주에 의해
서유럽과 남유럽에 처음 포크가 소개됨
신성로마제국으로 시집가 황후가 되었을때
맨손 대신 포크를 사용해 사람들이 놀랐다고 함

포크 문화는 유독 영국에만은 정착하지 못했는데
영국인들은 포크를 쓰는 모양새가 허접 푸씨같다며 놀렸다함
심지어 교회에서도 포크 사용을 금지했다고...
영국에는 한참 뒤인 18세기가 되어서야 포크 문화가 유입됨



1719543792938.jpg



칼은 인류가 처음 발명한 도구 중 하나이며
당연히 뭔가 먹는데도 사용되었다
큰 음식물을 썰어 작게 만들어야 입에 넣을수 있으니까



중세에 사용된 나이프는 따로 식기용이 있는게 아니라
허리춤에 맨날 차고 다니는 도구용 칼이었다
밧줄 자르고 사람 찌르고 하던 칼로 밥도 먹는거임
당연히 현대에 쓰이는 식기 나이프에 비해 훨씬 날카로웠다

보통은 나이프와 세트로 송곳을 썼는데
송곳은 그냥 칼로 뭐 썰때 음식물을 고정시키는 용이었음



그냥 주머니칼을 식기로 썼던 탓에
집에 손님을 초대해서 밥을 먹더라도
식기를 제공하지 않는게 나름의 식사예절이었다고함



17195437936815.jpg



숟가락은 상당히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음

기원전 3200년 전 이탈리아 오지에리 문화권(사르데냐 섬)에서
도기 숟가락과 국자가 사용된것이 확인되었을 정도임

옛날엔 뭔가 다들 입에 넣기 곤란한 모양새였음
중국집 숟가락 있잖음 그런느낌
대가리가 크거나 너무 깊거나 등등

숟가락이 현재처럼 긴 타원형이 된건
의외로 한참 나중인 18세기 초였음



17195437945565.jpg



젓가락은 적어도 기원전 1700년 전
중국 상나라에서 발명되었을 것으로 보고있음

사마천은 그 이전에도 쓰였다고 기록했지만
짱깨가 뻥치는거 하루이틀인가... 고고학적 증거는 없음

포크와 비슷하게 젓가락도
처음엔 조리 및 배식 기구로만 사용되었음
주 소비 곡식이 쌀이 아니라 조였기 때문인데
조는 보통 죽으로 먹어서 숟가락을 대신씀

한나라 시대부터 주 소비 곡식이 쌀로 전환되면서
식기로서 젓가락이 사용되기 시작함

한반도에 처음 젓가락이 사용된 시기는 삼국시대로 추정됨
다른 아시아 지역에선 귀족들이 사용하던 금속 젓가락은
유독 한반도에서만 널리 사용되었고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음



예로부터 동서양간 교류가 있었음에도
서양에 젓가락이 보급되지 않은건 음식의 차이 때문임

동양 음식은 보통 먹기좋은 사이즈로 잘려진채 조리되는데
서양 음식은 반대로 조리된걸 썰어서 먹음

일본에 포크 커틀릿이 유입됐을때 일양절충되는 과정에서
미리 썰려나오는 돈가츠가 된걸 생각하면 된다




17195437953986.png


던전밥 갤러리

중세의 식기


중세 시대의 식기는 그 당시의 문화와 생활 방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금속과 나무를 주 재료로 사용하며, 귀족과 평민의 식기 구성이 달랐습니다. 중세의 식기는 장식적 요소도 많아 예술적 가치가 높습니다.



중세 식기의 종류


중세 식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주로 사용된 식기는 나이프, 숟가락, 그릇, 컵 등이 있습니다. 포크는 이 시기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각 식기의 형태와 장식은 사용자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했습니다.



금속 식기


중세에서는 주로 청동, 은, 주석 등의 금속으로 식기를 제작했습니다. 귀족들은 화려하게 장식된 은 식기를 사용하였고, 평민들은 주석이나 청동으로 만든 식기를 주로 사용했습니다. 금속 식기는 내구성이 좋고 열 전도율이 높아 사용하기에 용이했습니다.



청동 식기


청동은 중세의 대표적인 금속 식기 재료 중 하나입니다. 경제적이고 가공이 쉬워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청동 식기는 주로 평민들이 사용하였고, 상대적으로 단순한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은 식기


은 식기는 주로 귀족층이 사용하였으며, 화려하고 정교한 장식이 특징입니다. 은은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식사의 격을 높이는 역할을 했습니다.



나무 식기


나무로 만든 식기 역시 중세에서 흔히 사용되었으며, 주로 평민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했습니다. 나무 식기는 가볍고 휴대하기 편하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되었습니다.



나무 그릇과 컵


나무 그릇과 컵은 그 실용성과 내구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나무 식기는 제작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며, 필요한 형태로 쉽게 가공할 수 있어 중세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중세 식기의 장식과 디자인


중세 식기는 기능성뿐 아니라 미적 요소도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금속 식기에는 종교적 상징이나 자연을 모티브로 한 정교한 장식이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장식은 소유자의 신분과 취향을 반영했습니다.



종교적 상징


많은 중세 식기에는 십자가, 성경 인물, 성물 등 종교적 상징이 새겨져 있었습니다. 이는 중세 사회에서 종교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줍니다.



자연 모티브


자연을 모티브로 한 장식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동물, 식물, 꽃 등의 디자인은 당시의 예술적 감성을 반영하며, 식기의 독창성을 높였습니다.


추천0 비추천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